funes-days: 기억의 천재 푸네스와 함께 하는 되새김의 여정
in the Funes Days
푸네스와 함께하는 기억의 여정
보르헤스의 소설 [기억의 천재 푸네스]에는 낙마 사고를 겪은 후 무한한 기억력을 갖게 된 소년 '푸네스'가 등장합니다. 그는 포도송이를 보더라도 모든 포도알의 형태를 제각각 기억할 수 있고, 강아지를 본다면 매일매일 달라지는 강아지의 세밀한 변화를 모두 기억하므로 그 모든 강아지를 동일한 존재라고 파악하지 못합니다. 그는 더 이상의 기억이 추가되는 것을 막고, 태어나서 겪은 모든 기억을 분류하기 위해 마구간에 스스로를 가둔 채 기억의 분류를 위한 언어체계를 만들어냈습니다.
레거시 블로그 아카이브
레거시 블로그는 더 이상 새 포스트가 업로드되지 않지만, 그럼에도 필요하신 분이 계시다면 링크를 남겨두겠습니다.
legacy.funes-days.comRecent Posts 60
- S3 Pre-signed URL로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최적화하기
- Zero-overhead Abstraction: 성능 손실 없는 추상화의 원리와 구현
- Git Cherry-pick 완전 정복: 선택적 커밋 적용으로 효율적인 코드 관리하기
- 하이럼의 법칙과 API 인터페이스 디자인으로 알아보는 소프트웨어 호환성 설계
- AI 시맨틱 캐싱으로 LLM 비용 최적화하기 - 당근마켓 성공 사례로 보는 실전 적용법
- RDBMS 스키마 설계 시 다중 인덱스의 왼쪽 법칙 완전 정복
- AI는 시를 어떻게 분석할까? 자작시를 ChatGPT와 ClaudeAI에 넣어보았다
- 백오피스의 즐거운 대안, Appsmith [2]. DB 연결 예제
- 백오피스의 즐거운 대안, Appsmith [1]. 소개 및 설치
- 한병철, <서사의 위기> 인용문
- Matter.js를 이용한 똥피하기 게임 만들기
- 팩토리 메서드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세요
- 완벽주의를 이겨내고 사이드 프로젝트 시작하기
- 타입스크립트에서 타입 별칭과 인터페이스의 차이 알기
- 2022년 상반기 근황
- Reflect란 무엇일까?
- React v18 살펴보기
- 형수의 커리어 짚어보기
- 매일매일 태어나는 사람
- 마이크로인터랙션
- 채용을 하며 느낀 점
- golang을 이용한 구독 커머스 아키텍처 설계
- framer-motion 실무에 적용해보기 (1)
- AppsScript를 이용해 구글시트 우편번호 입력 기능 만들기
- 브라우저의 동작 원리와 렌더링 최적화
- Relay로 구현한 Github 유저 검색하기 프로젝트
- GraphQL 뼈대를 이루는 네 가지 요소
- 호이스팅과 var, let, const
- 시몬 드 보부아르, <모든 사람은 혼자다>
- 욘 포세, <이름>
- D3로 서울시 강수량 그래프 만들기
- 한병철, <권력이란 무엇인가>
- 스베냐 플라스푈러, <조금 불편한 용서>
- 마크다운 파서 만들기 고군분투
- 정규표현식에 관하여
- 음수의 무게
- 볼프강 보르헤르트, <라디>
- 양자오, <미국의 민주주의를 읽다>
- 힐마 아프 클린트
- 달리기
- 이졸데 카림, <나와 타자들>
- 유시민, <나의 한국 현대사>
- 향초를 보고 있다
- Cache-Control이란?
- 금액-한글 변환 프로젝트 npm 배포하기
- Nodejs EventEmitter 뜯어보기
- 함수형 사고와 Ramda.js로 기업 데이터 처리하기
- 유용한 도커 명령어들
- UUID란?
- Goodbye 2019!
- [코어 자바스크립트] 실행 컨텍스트
- React Hooks와 Context를 이용한 설계 패턴
- 회사 생활 6개월, 깨달은 점들: 개발자로서 회사원으로서
- JS: The Observers
- 자바스크립트: 리터럴과 생성자
- AWS를 만드는 AWS, CloudFormation
- Reconciliation: React의 렌더링 알고리즘
- '데이터가 폭포수처럼 흘러내려' React의 flux 패턴
- 디스할 수 없는 너, this
- [무료 전자책] 성당과 시장: 리눅스는 어떻게 오픈소스의 대표주자가 되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