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ciliation: React의 렌더링 알고리즘
react가 virtual DOM을 업데이트하는 핵심 원리는 무엇일까?
published at: 2018-11-17
react
들어가며
react는 스스로 어떻게 일하는지 잘 드러내지 않는 도구입니다. 쓰기는 쉽지만 깊게 이해하기는 까다롭죠. 어쨌든 효율적인 설계를 위해선 내부를 파악해야 합니다. 이번 시간엔 react가 view를 어떻게 그리는지, 변경사항은 어떻게 업데이트하는지, 그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Reconciliation: 재조정
(참고: Reconciliation - React)
이미 react 공식 문서에서 소개하고 있는 내용인데요. 전체 DOM 트리를 탐색하고 비교하는 일반적인 알고리즘이 있지만, 이 알고리즘은 O(n^3)의 복잡도를 갖습니다. 하지만 react는 두 가지 힌트를 이용해 복잡도를 O(n)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 부모 노드의 타입이 다르면 자식 노드는 비교하지 않는다.
- 노드에 key를 부여하면 일일이 탐색하지 않고도 접근할 수 있다.
공식 문서의 문장을 그대로 옮겨오지 않고 제 나름의 말로 다시 써봤습니다. 저게 무슨 소리지? 싶을 수 있지만 예제를 보시면 이해하기 쉬울 겁니다.
부모 노드의 타입이 다르면 자식 노드는 비교하지 않는다
트리 탐색 알고리즘을 많이 접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트리를 탐색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너비 우선 탐색과 깊이 우선 탐색인데요. 너비 우선 탐색은 같은 깊이에 있는 노드를 전부 파악한 뒤 그 다음 자식 세대의 노드를 순차적으로 파악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반면 깊이 우선 탐색은 한 노드의 최하단 깊이까지 모두 탐색한 뒤 다음 노드를 파악해가는 방식을 말합니다.
react는 DOM 트리를 level-by-level로 탐색합니다. 너비 우선 탐색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죠.
그런데 DOM 트리는 보통 트리 구조와는 다른 독특한 특징이 있습니다. 각 HTML 태그마다 자기만의 규칙이 있어서 그 아래 들어가는 자식 태그가 한정적이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ul>
이나 <ol>
태그 바로 밑에는 <li>
태그만 담기게 되죠. <img>
나 <iframe>
이 담길 일은 없습니다. 그리고 만일 <div>
태그 안에 <button>
태그가 있었는데 <div>
가 <span>
태그로 바뀐다면, 설령 자식 태그가 그대로라 할지라도 display: block
규칙이 무너지기 때문에 렌더링 결과물은 어차피 달라지겠지요. 이런 점을 생각했을 때, 부모 태그의 타입이 바뀌는 순간 그 아래 모든 자식 태그들은 굳이 탐색할 것 없이 새로 렌더링해버리는 편이 더 효율적인 셈입니다.
공식 홈페이지 예제입니다.
<div>
<Counter />
</div>
// ⬇︎
<span>
<Counter />
</span>
위의 <div>
루트 노드가 아래 <span>
으로 바뀌면, 자식 노드인 <Counter />
컴포넌트는 완전히 해제되고 state 또한 파괴됩니다.
컴포넌트나 DOM 요소가 타입만 바뀌지 않는다면 react는 최대한 렌더링을 하지 않는 방향으로 최소한의 변경 사항만 업데이트 합니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react가 실제 DOM을 조작하는 게 아닌 virtual DOM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간단히 말해 virtual DOM은 실제 DOM을 생성할 때 필요한 정보들을 담은 객체인데요. 업데이트 할 내용이 생기면 virtual DOM 내부의 프로퍼티만 수정한 뒤, 모든 노드에 걸친 업데이트가 끝나면 그때 단 한번 실제 DOM으로의 렌더링을 시도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DOM 조작에 따른 오버헤드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 거죠.
// virtual DOM의 예
// 변경사항이 있으면 실제 DOM을 조작하지 않고 virtual DOM 객체 프로퍼티만 변경합니다
// render는 모든 프로퍼티 변경이 끝난 뒤에 전체를 취합해 한번만 이루어집니다
function render(count) {
return h(
'div',
{
style: {
textAlign: 'center',
lineHeight: 100 + count + 'px',
border: '1px solid red',
width: 100 + count + 'px',
height: 100 + count + 'px',
},
},
[String(count)],
);
}
(참고: GitHub - Matt-Esch/virtual-dom: A Virtual DOM and diffing algorithm)
노드에 key를 부여하면 일일이 탐색하지 않고도 접근할 수 있다
리액트는 자식 엘리먼트를 비교할 때 이전 목록과 다음 목록의 순서에 따라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합니다.
<ul>
<li>first</li>
<li>second</li>
</ul>
// ⬇︎
<ul>
<li>first</li> {/* 그대로군. */}
<li>second</li> {/* 그대로군. */}
<li>third</li> {/* 추가됐네. 새로 렌더링! */}
</ul>
위의 예제를 보시면, react는 기존 <ul>
과 새 <ul>
을 비교할 때 자식 노드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면서 바뀐 점을 찾습니다. 마지막 위치에만 새 노드가 추가된다면 react는 우리가 원하는 대로 바뀐 부분만 업데이트하게 됩니다. 하지만, 목록의 첫 부분에 뭔가 추가된다면 어떨까요? 사람이 보기엔 나머지 노드가 그대로인 것처럼 보여도, react는 목록 전체가 바뀌었다고 받아들입니다.
<ul>
<li>first</li>
<li>second</li>
</ul>
// ⬇︎
<ul>
<li>zero</li> {/* first가 zero가 됐군. 새로 렌더링! */}
<li>first</li> {/* second가 first가 됐군. 새로 렌더링! */}
<li>second</li> {/* 추가됐네. 새로 렌더링! */}
</ul>
이는 굉장한 낭비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react는 반복되는 엘리먼트에게 key를 부여하도록 하죠. 그러면 react는 노드의 순서가 바뀌어도 기존의 것이 그대로라는 걸 알아보고 새로 렌더링하지 않습니다. key는 서브트리 단위로 고유하기만 하면 됩니다.
<ul>
<li key="a">first</li>
<li key="b">second</li>
</ul>
// ⬇︎
<ul>
<li key="c">zero</li> {/* 추가됐네. 새로 렌더링! */}
<li key="a">first</li> {/* 아까 그 녀석이군. 순서만 바꾸자. */}
<li key="b">second</li> {/* 아까 그 녀석이군. 순서만 바꾸자. */}
</ul>
뭐니뭐니해도 Reconciliation은 피하는 게 상책
아무리 react의 재조정 알고리즘이 훌륭해졌다고 하지만… O(n)도 여전히 큽니다. 노드를 백만 개 가까이 다뤄야 한다면 말이죠. 그래서 react에서는 컴포넌트 라이프 사이클에 렌더링을 차단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바로 ShouldComponentUpdate
함수입니다.
(참고: React.Component – React # ShouldComponentUpdate)
이 함수는 컴포넌트가 업데이트 할지 말지를 boolean 값으로 결정하게 해 줍니다. 기존 props와 업데이트 될 state를 비교한 뒤 컴포넌트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거죠. 만일 개발자가 “이 컴포넌트는 절대 업데이트 될 일이 없을 거야”라고 생각된다면, 그냥 return false
를 지정하면 됩니다. 그러면 해당 컴포넌트는 어떤 경우에도 업데이트되지 않죠.
업데이트 여부를 어떻게 결정해야 할지 까다롭다면, PureComponent
혹은 React.memo
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PureComponent
는 개발지를 대신해 ShouldComponentUpdate
를 어떻게 할지 미리 결정해 놓은 컴포넌트입니다. ‘얕은 비교 shallow-compare’를 통해 기존 값과 새 값이 원시 값의 경우 동일하거나, 객체 프로퍼티 값의 경우 레퍼런스가 동일하다면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습니다. React.memo
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PureComponent
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HOC입니다.
// PureComponent
class Student extends React.PureComponent {
// 나머지 사용법은 기존 컴포넌트와 같습니다
}
// React.memo
const Student = React.memo(() => <div>hello</div>);
PureComponent를 소용 없게 만드는 잘못된 습관
위에서 PureComponent
는 기존 값과 새 값의 레퍼런스를 비교한다고 말씀드렸죠. 이 점을 명심하지 않으면 비효율적인 코드를 만들 위험이 있습니다.
class Item extends React.PureComponent {
// ...
}
class List extends React.Component {
// ...
render() {
return (
<div>
<Item item={this.state.item} deleteItem={() => this.deleteItem()} />
</div>
);
}
}
이런 코드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여기서 코드를 비효율적으로 만드는 주범은 무엇일까요? 바로 deleteItem
props로 전달되는 함수입니다. props에 익명함수를 전달하게 되면, 익명함수는 전달될 때마다 다른 레퍼런스를 갖게 됩니다. 그러면 PureComponent
인 Item
은 실상 계속해서 같은 함수가 전달되고 있음에도 레퍼런스 비교를 통해 다른 함수가 들어왔다고 착각하게 되고, 불필요한 업데이트를 거듭하게 되죠. 이는 함수뿐만 아니라 객체를 전달할 때도 마찬가집니다.
<Item
item={{
kind: 'article',
length: 3,
etc: result.item,
}}
deleteItem={() => this.deleteItem()}
/>
지금 보시면 item
props에서 즉석에서 객체를 만들어 전달하고 있죠. 이 객체는 따로 변수에 할당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만들어질 때마다 새로운 레퍼런스를 갖게 됩니다. 불필요한 업데이트를 거듭하는 원인이 됩니다.
마치며
react의 업데이트 알고리즘을 살펴봤습니다. 최적화는 여러 방면의 배경 지식을 갖추고 접근해야 이뤄낼 수 있다는 걸 느낀 시간이었습니다. 이외에도 코드 스플리팅을 하거나, 엄청나게 많은 노드를 다룰 때 값을 lazy하게 나누어서 불러들이는 스킬 등이 필요할 것입니다.
(참고: nhnent/fe.javascript | React 렌더링과 성능 알아보기)